본문 바로가기

생활건강정보

디스크에 관해서

디스크에 관해서


디스크는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으로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물건을 들어올릴 때 통증이 심해집니다.

급성일 경우 근육이 심하게 굳어 모든 동작을 취하는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목디스크가 있다면 손가락까지 저리고 허리디스크가 있다면 발목이나

발가락까지도 통증이 뻗어나갑니다.




허리통증은 20대에도 급증하고 있는데요. 대부분 원인은

스마트폰과 다이어트라고 합니다.

스마트폰을 잘못된 자세로 장시간 이용하다 보니 척추에 무리가 가서

디스크로 이어지는것인데요. 


디스크는 추간판이 외부자극에 의해 뒤쪽으로 탈출해서

척추신경근을 압박해 각종 증상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잘못된 자세로 오래 있거나 반복적으로 무거운 것을 들어올리는 경우,

허리나 복부 근육이 약해진 상황에서 외부 자극이 가해진 경우에 나타납니다.


추간판이 충격흡수제 역할을 하는데, 뒤에서 지탱해주는 인대 조직이 파열돼

추간판이 밀리면서 신경근이나 척수경막을 압박해 통증이 나타납니다.




척추 건강만큼 신경써야하는것은 바로 장건강입니다. 장이 건강하지 않아

변비가 생기면 허리 통증이나 디스크가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변비가 있으면 배변 시 복압이 높아지고, 허리 주변 근육과 인대가 수축해

척추뼈 사이에 있는 추간판이 밖으로 튀어나오게 됩니다.




돌출된 디스크가 신경을 압박해 나타나는 증상 외에 신경 주위에 염증이 동반되기도 하는데요.

이를 줄이는 것이 비수술적 치료법입니다. 

비수술적 치료법에는 일반적으로 약물치료, 주사치료가 있습니다.


디스크를 자가진단 하려면 먼저 천장을 보고 누워 무릎을 곧게 펴고

왼쪽 다리와 오른쪽 다리를 번갈아 들어 올리는데 이때

만일 엉덩이부터 무릎, 종아리, 발등 쪽으로 당기거나 통증이 있는 경우나

한쪽 다리를 들수 있는 각도가 반대편과 차이가 난다면 허리디스클 의심할 수 있습니다.

똑바로 누운 상태에서 양쪽 엄지발가락에 힘을 주어 바르게 세울 때 발가락에

힘이 들어가지 않고 동작을 제대로 따라할 수 없다면 허리디스크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