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속의 박테리아가 식사량까지 조절한다?
오후에는 밥을 먹고 일을 하게되면 식곤증이 생깁니다.
밥을 먹고 나른해지는 현상이 바로 푸드코마현상인데요.
몸속에 기생하는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서
식후에 찾아오는 나른함의 정도에 차이가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미생물이 사람의 음식 섭취랴을 조절해서
나른해질 정도로 배부르게 먹도록 유도하기도 하고
적당히 먹고 멈출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때문입니다.
소화기관에 기생하는 박테리아 이콜라이라는 대장균은
식후 20분 뒤 뇌에서 식욕억제반응을 일으키는
호르몬과 연관된 단백질을 내뿜는데요.
체내 박테리아가 사람의 행동에 영향을
준다는 결정적인 단서가 되기도 합니다.
다행히 이런 미생물은 건강에 별 영향이 없습니다.
체내 미생물이 가장 활발하기 좋은 곳은 바로
소화기관으로 기생하는 미생물의 70% 정도가 대장의
일부분인 결장에 거주합니다.
이콜라이는 위장장애, 소화장애 등을
연상케 하는 나쁜 박테리아같지만 사람의
식습관을 결정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사람이 음식물을 섭취하면 이콜라이가 영양분을
공급받고 이 단백질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양이
식사량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준다고 합니다.
'생활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부각질제거제는 타입별로 선택해야 한다 (0) | 2015.12.07 |
---|---|
대장암의 증상 그리고 예방법은 무엇일까? (0) | 2015.12.04 |
겨울철 유난히 머리가 아픈 이유 (0) | 2015.12.01 |
매일 정신없는 이유와 대처하는 법 (0) | 2015.11.30 |
연말에 술을 덜 마시려면? (0) | 2015.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