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건강정보

몸속의 박테리아가 식사량까지 조절한다?

몸속의 박테리아가 식사량까지 조절한다?


오후에는 밥을 먹고 일을 하게되면 식곤증이 생깁니다.

밥을 먹고 나른해지는 현상이 바로 푸드코마현상인데요.


몸속에 기생하는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서

식후에 찾아오는 나른함의 정도에 차이가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미생물이 사람의 음식 섭취랴을 조절해서

나른해질 정도로 배부르게 먹도록 유도하기도 하고

적당히 먹고 멈출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때문입니다.


소화기관에 기생하는 박테리아 이콜라이라는 대장균은

식후 20분 뒤 뇌에서 식욕억제반응을 일으키는

호르몬과 연관된 단백질을 내뿜는데요.


체내 박테리아가 사람의 행동에 영향을

준다는 결정적인 단서가 되기도 합니다.



다행히 이런 미생물은 건강에 별 영향이 없습니다.

체내 미생물이 가장 활발하기 좋은 곳은 바로

소화기관으로 기생하는 미생물의 70% 정도가 대장의

일부분인 결장에 거주합니다.





이콜라이는 위장장애, 소화장애 등을

연상케 하는 나쁜 박테리아같지만 사람의

식습관을 결정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사람이 음식물을 섭취하면 이콜라이가 영양분을

공급받고 이 단백질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양이 

식사량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준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