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중풍 노안 아닌 망막혈관폐쇄증
망막혈관폐쇄증은 한국망막학회가 4대 망막질환으로 꼽을 정도로
특히 50대 연령층에서 급증해 장노년층의 눈 건강을 위협하는 질환입니다.
신경조직으로 구성된 망막은 카메라에서 필름에 해당되며, 망막에 상이 맺혀
뇌에 절달되어 무엇을 보는지 인지할 수 있게 됩니다.
망막은 1억개 이상의 빛을 감지하는 광수용체세포와 100만개가 넘는
시신경 세포와 이들을 연결하는 수많은 세포로 구성되어 인체에서 가장
정교한 조직에 속합니다.
망막혈관폐쇄증은 망막에 혈액을 공급하는 망막 동맥과 혈액을
다시 심장으로 내보내는 망막 정맥 그리고 이 두개 혈관에서 갈라져 나온
분지혈관이 막히게 되어 시력저하, 시야 장애, 비문증 등을 초래하는 질환으로
치료가 늦어지면 실명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지면서 생기는 중풍과 원인이 같아
눈 중풍으로도 불리는 망막혈관폐쇄증은 고혈압이 가장 큰 원인이며,
그 외 당뇨병, 동맥경화, 고지혈증 비만 등이 있습니다.
망막 혈관폐쇄증은 폐쇄된 혈관의 위치에 따라 시력 저하의 속도나
정도에 차이가 있으며, 망막중심동맥폐쇄인 경우 급격한 시력장애를 보입니다.
망막의 동맥이 막히면 눈앞의 사물이 보였다 안 보였다 하는 증상이 반복되는데,
이를 방치하는 경우 심하면 실명에도 이를 수 있습니다.
정맥이 막히는 경우에는 황반부종, 유리체 출혈 등이 동반 될 수 있습니다.
진단은 먼저 시력과 안압을 측정하여 시력 감소 정도를 파악한 후 눈의
검은자인 동공을 확대시키는 동공 확장제를 점안하여 동맥과 정맥 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안저 검사를 통해 혈관 폐쇄 여부를 확인합니다.
한쪽 눈에만 증상이 있어도 양쪽을 모두 검사하는 것이 좋습니다.
망막동맥폐쇄인 경우에는 즉시 응급처치를 받아 발병 후 2시간 이내에
적극적으로 안압을 낮추는 치료를 받아야 하며, 망막동맥폐쇄가 2시간이상
지속되면 시력 회복을 기대하기가 어렵습니다.
'생활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과 효능 껍질 째 먹으면 피부 노화 걱정 없어요! (0) | 2015.04.02 |
---|---|
잘못된 운동 상식 운동 직후 단백질? (0) | 2015.04.01 |
자외선 차단제도 피부에 맞게 써야한다! (0) | 2015.03.30 |
봄철 몸매 만들기 운동 요령 더 늦기 전에 시작해요! (0) | 2015.03.27 |
뇌 건강 돕는 슈퍼푸드 기억력을 높여요 (0) | 2015.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