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건강정보

감기약 먹고 술마시면 안되는 이유?

감기약 먹고 술마시면 안되는 이유?


술자리가 많은 연말에 감기가 걸리면

약을 먹고 술을 마셔야 할지 마시지 말아야할지

참 난감한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감기약이나 혈압약 등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은

술을 멀리해야 한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약을 먹고 30분~2시간이 지나면

혈중에 약물이 가장 많이 남아 있는데

이 시간대에 약을 먹게 되면 간손상이 생길 뿐 아니라

위염, 위장장애가 생길수 있어서 심각합니다.




알콜과 약물 성분이 합쳐질 경우에 약물 부작용이

더 심화되고 알콜 분해가 더 늦어져 간손상이 심해집니다.


관절염, 두통, 근육통 등에 사용되는 진통제인

아세트아미노펜과 아스피린 등은 먹고 난 뒤

술을 마시면 위장관 출혈, 부작용 등이 염려되고

약물의 간독성이 증가돼어 간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무좀약과 고지혈증 약을 먹고 술을 마시면 

독성 간손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저혈압이나 어지러움이 생길 수도 있는데요.

항히스타민제를 마시면 어지러움, 졸림 증상이

나타나고 사고 위험도 커집니다.



따라서 약을 먹은 뒤에는 술을 마시지 않는것이 좋습니다.